정부에서 아이 양육에 금전적인 부담을 느낄 한부모 가정 대상으로 아동 양육비와 학용품비, 생활보조금을 지원합니다.
양육비 매달 20만 원, 생활보조금 월 5만 원 등 소득과 가족 구성에 따라 지원되는 대상과 금액에 차이가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한부모 가정 양육비 지원 대상과 지원 내용
아이 키우는데 크고 작은 시간적, 사회적, 금전 전 비용이 요구됩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 아이 양육에 필요한 비용은 만만치 않은데요, 한부모 가정의 경우 아이 돌봄과 경제적 활동을 함께 병행해야 하기에 여러모로 어려움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소득이 낮은 한부모가족 등을 대상으로 양육비와 추가 양육비, 학용품비, 생활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항목 | 대상 | 금액 |
아동양육비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한부모 가구의 만 18세 미만 아동 | 자녀 1인당 월 20만원 |
추가 아동 양육비 |
조손가족,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5만원 |
청년 한부모(25~34세 이하) 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10만원 |
|
청년 한부모(25~34세 이하) 가족의 만 6세 ~ 18세 미만 아동 | 자녀 1인당 월 5만원 |
|
학용품비 | * 한부모 가족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 | 자녀 1인당 연 9만 3천원 |
생활보조금 | * 한부모 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 가족 | 가구당 월 5만원 |
아동양육비(자녀 1인당 월 20만 원)를 받는데 필요한 한부모 가구의 복지급여 기준은 중위소득 60% 이하입니다. 법정 한부모라고 말하는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중위소득 60%는 대략 2023년 기준2인가구의 경우 2,073,693원, 3인가구의 경우 2,660,890원입니다.
급여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기준 중위 소득 60% | 2,073,693 | 2,660,890 | 3,240,578 | 3,798,413 | 4,336,789 |
기준 중위 소득 60%에 해당하는 경우 복지급여 수급과 한부모 가족증명서(법정 한부모) 발급이 가능합니다.
한부모가족 혜택을 받기 위한 증명서가 필요한 경우 신분증을 가지고 거주지의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족 증명서 발급 | 민원안내 및 신청 | 정부24
신청방법: 인터넷, 방문, FAX, 우편, 모바일, 무인발급기 I 수수료: 수수료 없음 I 이 민원은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한부모가족 보호대상자 증명에 관한 민원입니다.
www.gov.kr
청소년 한부모에겐 추가 지원
만 24세 이하 청소년 한부모가 자녀 양육과 생계를 위한 취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아동양육비를 기본으로 검정고시 학습비, 자립촉진수당 등이 추가로 지원됩니다. 단, 아동양육비의 경우 이미 위 항목으로 월 20만 원을 수급하고 있다면 추가로 차액 월 15만 원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항목 | 대상 | 금액 |
아동양육비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인 청소년 한부모 가족의 아동 | 자녀 1인당 월 35만원 |
검정고시 학습비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인 청소년 한부모 학원비, 교제비, 학용품비 지원 |
가구당 연 154만원 |
자립촉진수당 | 취업, 학업 등 자립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 한부모 대상 | 가구당 월 10만원 |
청소년 한부모 나이를 충족하면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일 경우 지원됩니다.
급여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기준 중위 소득 65% | 2,246,501 | 2,882,630 | 3,510,627 | 4,114,947 | 4,698,188 |
기준 중위 소득 72% | 2,488,432 | 3,193,068 | 3,888,694 | 4,558,095 | 5,204,146 |
청소년 한부모의 경우 기준 중위 소득 65% 이하일 경우 일부 복지급여 지원이 가능하며, 소득 72% 이하부터 한부모 가족증명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한부모 가정 양육비 지원 방법은?
한부모 가정 양육비 신청의 경우 세대주의 주민등록 소재지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신청가능합니다.
크고 작은 어려움이 있지만 굳건히 내 아이와 가정을 지키려는 한가족 가정의 부모님들.
정책도 복지도 아직 다른 나라에 비하면 턱 없이 부족한 수준이지만, 위 양육비, 신청금 혜택 꼭 챙겨 우리 보석 같은 아이들 양육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 받아 조금이라도 생활비 부담을 덜어냈으면 좋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한부모 가정 양육비 이행 서비스 - 지원 내용 상세 알아 보기
양육비 이행 서비스는 주양육자(양육비채권자)의 신청을 받아 비양육자로부터 양육비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소송, 채권추심, 모니터링 등을 지원하는 대리 서비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양
gotrygo.com
한부모 가정 양육비 이행 지원 미지급 청구 소송 서비스
부득이한 사정으로 한부모 가정이 되는 슬픔도 잠시, 일부 가정은 아이 양육과 관련해 상대방(비양육자)과 양육비 문제로 크고 작게 분쟁이 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용적인 문제에, 복잡하고 3
gotrygo.com
'알쓸 정보 > 경제&재테크&정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생 13%가 일하고 싶은 공기업으로 선정한 인천국제공항공사 (0) | 2023.06.22 |
---|---|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 순위 - 1위 삼성전자 (0) | 2023.06.21 |
비정상거처 이주지원 5천만원 무이자 지원 한도와 대상 (0) | 2023.06.18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금융정보조회 하기 (0) | 2023.06.17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카드 포인트 찾기&자동납부 조회 (0) | 2023.06.15 |
댓글